각지역별 명산/충청북도

영동군(永同郡) 관광지도, 등산지도

박상규 2009. 12. 15. 14:00
 
 
 
 

충청북도 영동군(永同郡)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리)

영국사 대웅전과 삼층석탑

영동군(永同郡) 여행정보
양산8경(陽山八景)과 한천8경(寒泉八景)

경상북도·전라북도·충청남도와 접해 있으며, 경부선의 중간지점에 위치한다. 한국 제일의 감 재배지역으로 손꼽힌다. 영동읍·매곡면·상촌면·심천면·양강면·양산면·용산면·용화면·학산면·황간면·추풍령면 등 1개읍 10개면 230개 동리가 있다(행정리 기준, 법정리 기준은 131개). 군청소재지는 영동읍 계산리이다.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분기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군 전체가 대체로 높고 험준한 산지를 이루고 있다. 동부는 눌의산(訥誼山 743m)·황학산(黃鶴山 1,111m), 서부는 마니산(摩尼山 640m)·성주산(聖主山 624m), 남부는 백하산(白霞山 634m)·민주지산(民周之山 1,242m)·천마령(天摩嶺 926m) 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부에는 백화산맥의 포성봉(捕城峰 933m)·주행봉(舟行峰) 등이 솟아 있다.

금강이 군 서부의 심천면·양산면 일대를 곡류하며, 영동천·호탄천·원당천 등이 금강으로 흘러든다. 군 동부에서는 석기봉(石奇峰) 북쪽 사면에서 발원한 초강천이 상촌면·매곡면 일대를 지나 황간면·용산면을 서류해 심천면 심천리에서 금강에 합류한다.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7, 천연기념물 2, 중요민속자료 4),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5, 기념물 12, 민속자료 2, 무형문화재 2), 문화재자료 8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용산면에서 돌칼과 돌화살촉, 심천면에서 마제석기와 빗살무늬 토기조각이 발견되었다. 삼국시대 유적으로는 영동읍 부용리고분(충청북도 기념물 제34호), 용산면의 말무덤이 있으며, 성터로는 부용성터·주곡리성터·백화산성·노고성(老姑城)·지촌리성터·대왕산성(大王山城)·장군봉성터·황간읍성터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양산면 영국사(寧國寺)에 영국사대웅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1호)·영국사3층석탑(보물 제533호)·영국사망탑봉3층석탑(寧國寺望塔峰三層石塔 보물 제535호)·영국사부도(보물 제532호)·영국사원각국사비(寧國寺圓覺國師碑 보물 제534호) 등이 있으며, 황간면 반야사(般若寺)에는 반야사3층석탑이 있다.

그밖에 영동읍의 영동심원리부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2호), 용산면의 영동신항리삼존불입상(보물 제984호), 추풍령면의 신안리석불입상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영동읍 부용리에 영동향교(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9호), 황간면에 황간향교(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상촌면에 영동삼괴당(永同三槐堂 충청북도 기념물 제22호), 양강면에 자풍서당(資風書堂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3호), 매곡면에 사로당(四老堂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1호)·흥학당(興學堂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등이 있으며, 심천면 고당리에는 박연을 제향하는 난계사(蘭溪祠), 학산면에는 청절사(淸節祠), 영동읍에는 노후사(盧候祠)가 있다.

그밖에 건축물로는 영동 송재문가옥(宋在文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32호), 영동 송재휘가옥(宋在徽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40호), 영동 김선조가옥(金善照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42호), 영동 성위제가옥(成渭濟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44호) 등과 상촌면의 고반대(考槃臺), 심천면의 관어대(觀魚臺), 양산면의 금호루(錦湖樓)·여의정(如意亭), 영동읍 당곡리에 관우를 모신 십이장신당(十二將神堂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2호)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로 영동영국사의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223호)와 금강 상류의 어름치(천연기념물 제238호)가 지정·보호되고 있다.

주요관광지로 양산8경(陽山八景)과 한천8경(寒泉八景)을 들 수 있다.
한천팔경(寒泉八景)
1경 월류봉, 2경 화헌악, 3경 용언동, 4경 산양벽 5경 청학굴, 6경 법존암, 7경 사군봉, 8경 냉천정
양산팔경(陽山八景)
영국사(寧國寺), 강선대(降仙臺), 비봉산(飛鳳山), 봉황대(鳳凰臺), 함벽정(涵碧亭), 여의정(如意亭), 자풍당(資風堂), 용암(龍岩)
양산8경은 양산면의 금강상류에 있는 강변의 백사장과 우뚝 솟은 기암의 절경이며 한천8경은 황간면에 있는 월류봉·화헌악·용연대·산양벽·청학굴·법존암·사군봉·냉천정을 말한다. 그밖에 심천면의 옥계폭포, 영동읍의 낙화대 등이 있으며, 추풍령에는 휴게소와 전망대가 있다. 토속음식인 토금리밑갓채가 별미로 유명하다.

영국사(寧國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다. 고려 문종 때 원각국사(圓覺國師)가 창건한 절로 당시에는 국청사(國淸寺)라고 했다. 그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이원(伊院) 마니산성(馬尼山城)에 머물 때 이 절에 와서 기도를 드린 뒤 국난을 극복하고 나라가 평온하게 되었다 해서 영국사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일설에는 조선 태조 때 세사(洗師)국사가 영국사로 바꾸었다고도 하지만 확실하지 않다. 현재 대웅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1호)과 요사채만 남아 있고, 중요문화재로는 부도(보물 제532호)·3층석탑(보물 제533호)·원각국사비(보물 제534호)·망탑봉3층석탑(보물 제535호) 등이 있다. 이밖에 절 입구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는 천연기념물 제223호로 지정된 은행나무가 있다.

영국사망탑봉3층석탑(보물 제535호) : 영국사에서 약 500m 떨어진 망탑봉(望塔峰) 정상에 있는 고려시대 3층석탑. 높이 300cm. 거대한 자연암석을 편평하게 다듬어 그대로 기단으로 사용하고, 윗면에 2단의 높은 각형 받침을 마련하여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았는데 전체적으로 파손이 심한 편이다.

단층기단의 각 면에는 우주(隅柱)와 탱주(撑柱)를 모각하고, 그 사이에는 안상(眼象)을 1구씩 조각했다. 탑신부의 옥신(屋身)과 옥개(屋蓋)는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다. 옥신석은 위로 갈수록 좁아지며 각 면마다 우주가 모각되어 있다.

특히 1층 옥신의 각 면에는 아무런 장식도 없는 4각형이 양각되어 있다. 옥개석은 각 층마다 윗면에 옥신을 받기 위한 1단의 각형 굄이 있는데, 층급받침은 1층이 5단, 2·3층은 4단으로 되어 있다. 낙수면은 편평한 편이며 추녀는 수직으로 처리되었고, 처마 끝부분에 약간의 반전이 있을 뿐 전체적으로 단조로운 느낌을 준다.

상륜부는 완전히 결실되었으나 3층의 옥개석 중앙에 지름 4.5cm, 깊이 3cm의 찰주공(擦柱孔)이 있다. 이 석탑은 자연석으로 된 단층기단, 옥신석의 체감률이 완만한 점, 옥개석의 층급받침이 일정하지 않은 점 등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사부도(보물 제532호) : 영국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탑(僧塔). 높이 176cm. 기단부·탑신부·상륜부가 모두 8각형으로 된 전형적인 8각원당형(八角圓堂形) 부도로서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지대석 위에 놓여 있는 1단의 높은 굄과 2단의 낮은 각형 받침이 하대석을 받치고 있다.

하대석의 각 면에는 안상이 1구씩 새겨져 있고, 그 위에는 1단의 높은 굄과 3단의 각형 낮은 받침이 있다. 중대석에도 마찬가지로 각 면에 안상이 1구씩 장식되어 있다. 상대석은 앙련(仰蓮)이 2중으로 장식된 연화대로 그 아래에 2단의 받침이 조각되어 있다.

윗면 가장자리에는 띠를 돌리고 중앙에 3단의 굄을 마련하여 탑신을 받치고 있다. 탑신의 각 면에는 우주를 새기고, 한 면에만 자물쇠가 장식된 문비(門扉)가 표현되었다. 옥개석의 윗면에는 기왓골이 모각되어 있고, 낙수면은 자연스럽게 내려오면서 처마 끝부분이 살짝 올라가 곡선을 이루고 있다.

상륜부에는 원형의 복발(覆鉢)과 연봉오리 모양의 보주(寶珠)가 남아 있다. 이 부도는 양식적인 특징과 경내에 있는 원각국사비와 관련지어볼 때 1180년(명종 10)에 함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사3층석탑(보물 제533호) : 영국사 대웅전 앞에 있는 통일신라 말기의 3층석탑. 높이 315cm. 1942년 주봉조사(朱奉祖師)가 대웅전 앞으로 옮겨놓았으며 원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넓은 석단 위에 2층 기단과 3층 탑신이 놓여 있는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3층석탑이다.

하층기단의 면석은 4매로 구성되었고 각 면에는 안상이 3구씩 새겨져 있다. 하층갑석도 4매로 이루어졌으며 각 모서리 끝이 반전되어 있고, 중앙에는 호형(弧形)과 각형(角形)의 2단 굄이 있다. 상층기단도 4매로 이루어졌으나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 대신에 면을 꽉 채우고 있는 안상이 1구씩 새겨져 있다.

상층갑석은 1매로 아래에는 부연(附椽)이 있고, 윗면 중앙면에는 하층 갑석과 마찬가지로 2단 굄이 있다. 탑신부의 옥신과 옥개는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는데 옥신석의 각 면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고, 1층 옥신의 한 면에만 자물쇠가 있는 문비가 조각되어 있다.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모두 4단으로 처마 끝부분이 심하게 올라가 있으며 윗면에는 옥신을 받기 위한 1단의 각형 굄이 있다. 3층 옥개석의 윗면에는 지름 7.5cm, 깊이 8cm의 찰주공이 있다. 상륜부에는 앙화(仰花)·보륜(寶輪)·보개(寶蓋)·수연(水煙) 등이 남아 있다.

이 석탑은 전체적으로 기단과 옥개석에 비해 옥신석의 폭이 좁아 다소 불안정해 보이고, 둔중한 조각수법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 지도검색 : 국토지리원 지도검색서비스
⊙□☞ 날씨정보 : 기상청 주요산 날씨예보
⊙□☞ 로드플러스 : 실시간 교통정보
⊙□☞ 한국관광공사
: 한국관광공사 교통정보 (길찾기)
⊙□☞ 철도청 : 코레일 기차편정보

◐■☞ 영동군(永同郡)의산 리스트 : 영동군(永同郡)의 모든산 목록표
◐■☞ 영동군(永同郡) : 영동군(永同郡) 문화관광 홈페이지
◐■☞ 관광지도 : 영동군(永同郡) 관광지도 서비스
◐■☞ 교통정보 : 영동군(永同郡) 교통정보 서비스
◐■☞ 영동군(永同郡) : 민주지산자연휴양림 홈페이지
◐■☞ 영동군(永同郡) : 난계 박연(蘭溪 朴堧) 홈페이지
◐■☞ 영동군(永同郡) : 노근리사건 홈페이지
◐■☞ 관광지도 : 영동군(永同郡) 관광지도
◐■☞ 대한민국전도 : 대한민국 전도 보기
◐■☞ 대한민국주변도 : 대한민국 주변도 보기
◐■☞ 세계전도 : 세계 전도 보기

※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원본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영동군(永同郡) 관광지도

천태산 등산안내도

영동군(永同郡) 관광지도

영동군(永同郡) 관광지도

영동군(永同郡) 관광지도

영동군(永同郡) 시가지 안내도

-..Top ↑ 한반도의산하 l 백두대간 l 100代명산 l 한국의명산 l 국립공원 l 도립공원 l 군립공원 l 전국의산 l 시.도별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