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기봉 정상. 오른쪽 아래로 산달랑이 채석야적장이 보인다.
-
산달랑이 계곡~아기봉~철암재~동봉 현등사 입구로 들어서기 전 신상리 신상교 삼거리에서 왼쪽 좁은 길로 약 1.4km 들어간 산달랑이(산월랑) 마을 버스종점까지는 현리에서 버스로 10분이 채 안 걸린다. 버스종점에서 북서쪽으로 보이는 계곡 왼쪽으로 아기봉이 바라보인다.
계곡길로 10분 가량(약 0.5km) 들어가면 수양관 삼거리에 닿는다. 왼쪽 주계곡 방면 비포장길을 따라 약 10분 들어서면 채석야적장에 닿는다. 이후 약 10분 더 들어서면 출입금지 푯말이 있다. 푯말에서 직진하면 철암재에 닿게 된다.
푯말 앞에서 왼쪽으로 계류로 내려서면 합수점이다. 이곳에서 주계곡을 건넌 다음, 지계곡으로 약 20m 거리에 이르면 오른쪽 바윗길로 올라간다. 바윗길은 곧이어 왼쪽으로 꺾여 아기봉 동릉으로 이어진다.
동릉을 타고 10분 가량 오르면 왼쪽 아기폭포 방면으로 빠지는 삼거리에 닿는다. 왼쪽 사면길은 아기폭포를 경유해 아기봉으로 가는 길이다. 약 5분 가면 아기폭포를 지나고, 약 30분 거리인 너덜지대를 이룬 급경사 협곡 안 15m와 10m 높이 와폭을 지나 8~9분 오르면 아기봉 남동릉에 닿는다. 이후 능선으로 약 20분 더 오르면 아기봉 정상이다.
예전에는 아기폭포 경유 코스를 많이 이용하였으나 요즘은 삼거리에서 계속 동릉을 탄다. 동릉으로 5~6분 오르면 바위지대 하단부에 닿고, 오른쪽 우회길로 4~5분 오르면 바위지대 상단부로 올라선다. 이어 5분 더 가면 맹수 이빨을 닮은 송곳니바위가 나오고, 8~9분 더 오르면 반석 위에 둥그런 돌이 얹혀 있는 기암에 닿는다. 기암을 지나 15분 가량 오르면 오른쪽 계곡 건너로 철암재와 운악산이 조망되는 전망바위로 올라선다.
전망바위를 내려선 후 5분 가면 암봉 하단부에 닿고, 왼쪽 우회길로 약 10m 가면 세미클라이밍 장소가 나타난다. 60cm 높이 고목 통나무를 딛고 올라서서 오른손을 뻗으면 잡을 곳이 감지된다. 오른손을 잡아당김과 동시에 왼발을 끌어올려 바위면에 대고 오르면 된다.
이후 경사진 바위를 지나 약 70m 오르면 암봉 상단부에 닿고, 약 15분 더 오르면 아기봉 북릉에 이르러 왼쪽으로 약 40m 가면 아기봉 정상이다. 아기봉 정상에는 집채만한 돌출 바위에 노송 네 그루가 자라고 있다. 조망도 일품이다. 서쪽 아래로는 47번 국도 건너편으로 한북정맥을 끌고 나아가는 수원산이 마주 보인다. 북으로는 운악산, 북동으로는 명지산과 연인산, 동으로는 매봉과 칼봉, 남으로는 현리 번화가가 멀리 축령산 서리산 주금산 천마산 등과 함께 조망된다.
아기봉에서 북릉을 타고 40분 가량 가면 한북정맥과 만나는 삼거리다. 수원산 방면 길목 나뭇가지에는 표지기들이 많이 걸려 있다. 운악산 방면 내리막으로 13분 내려가면 공터에 닿고, 계속 3~4분 더 내려가면 철암재에 닿는다. 안내푯말 하나 없지만, 대안사 방면과 산달랑이 방면으로 하산한 흔적들이 역력하게 남아 있다.
철암재에서 한북정맥을 타고 25분 가량 오르면 현등사에서 오르는 절고개에 닿고, 이후 남근석 전망장소~905m봉 삼거리를 지나 동봉으로 향한다.
신상리 산달랑이 마을 버스종점을 출발하여 채석야적장~아기봉~한북정맥 분기점~철암재~절고개를 경유하여 동봉 정상에 오르는 산행거리는 약 7.5km로, 4시간 안팎이 소요된다.
- ▲ 동봉 남서릉 중턱에서 북으로 본 망경대 서릉.
-
대안사~절골~905m봉 남서릉~동봉 정상(제3코스) 화현6리 37·47번 국도변 대안사(구 대원사) 안내판 앞에서 버스가 정차한다. 정류소 오른쪽 길로 올라서서 대안사 안내석 옆으로 난 돌계단을 올라서면 정면으로 운악산 전경이 펼쳐진다. 이어 3~4분 내려서면 대안사에 닿는다.
대안사에서 산길은 두 길로 갈린다. 화장실과 등산로 안내판 옆 지능선으로 붙는 길은 망경대 서릉으로 오르는 코스(등산로 폐쇄)이고, 화장실 오른쪽 계곡길은 궁예소를 경유해 절고개로 오르는 제3코스다.
안내판 오른쪽 계곡길로 약 10분 들어가면 첫 번째 합수점에 닿고, 10분 더 들어가면 세 계류 합수되는 두 번째 합수점인 궁예소 삼거리(←제3코스 동봉 1,660m, 폐쇄 길 없음→ 푯말)다. 폐쇄된 오른쪽 길은 철암재 방면이다.
삼거리에서 왼쪽 길로 4~5분 들어서면 세 번째 합수점에 닿는다. 합수점에서 오른쪽 절골 방면으로 들어가면 곧이어 60도 급경사에 설치된 철사다리(20m 높이에 철사다리 2개)가 나온다. 철사다리 밑에서 직진하는 계곡길은 절고개로 이어지고, 왼쪽 철사다리를 올라가면 905m봉으로 곧장 연결된다.
능선길에서는 왼쪽 협곡 건너로 망경대 서릉 암릉이 건너다보인다. 20분 오르면 푯말(↑동봉 600m)에 닿고, 더욱 가팔라지는 능선길로 약 10분 더 오르면 한북정맥 상의 전망장소인 905m봉(←정상 170m 푯말)을 밟는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5~6분 더 오르면 동봉에 닿는다.
대안사 입구를 출발하여 궁예소 합수점~905m봉을 경유해 동봉에 이르는 산행거리는 약 3km로, 2시간30분 안팎이 소요된다.
- ▲ 망경대에서 뒤돌아본 망경대 서릉(바로 왼쪽 아래). 47번 국도와 자연휴양림이 보인다. 멀리는 포천시와 왕방산.
-
자연휴양림 입구~운악사~망경대~서봉 정상(제2코스) 37·47번 국도변인 운악산광장은 대안사 입구 다음 정류장이다. 운악산광장에서 운악산 자연휴양림 방면으로 5~6분 들어가면 운악산정식당 앞(1코스 ←정상 서봉 2,570m, ←신선대 무지치폭포, 암장 가는 길 40분, 2코스 정상 서봉 2,330m→, 운악사 망경대→ 푯말)이다.
식당 앞에서 3분 더 들어가면 휴양림 매표소 앞 노란색 차단기에 닿는다. 차단기에서 길은 두 갈래로 나뉜다. 차단기 기둥 왼쪽(←제2코스 등산로 정상 서봉 2,150m 푯말)으로 들어가면 입장료를 받지 않는다. 차단기 기둥 오른쪽 넓은 길은 휴양림으로 들어가는 길이다.
왼쪽 사면 길로 들어가 4~5분 오르면 지능선으로 이어진다. 지능선을 따라 18분 가량 오르면 왼쪽 바위 협곡에 자리한 운악사가 내려다보이는 안부 삼거리에 닿는다. 운악사는 본래 이름이 청학사였다. 안부에서 직진하면 망경대 서릉으로 올라선다.
왼쪽 운학사와 소꼬리폭포 방면 절벽을 막은 철조망지대를 지나 6~7분 오르면 푯말(정상 서봉 1,030m→)이 나오고, 10분 가량 더 오르면 약 50m 길이 밧줄이 걸린 급경사 바윗길로 들어선다. 이 코스가 쉽지 않음을 직감하게 된다. 50m 밧줄구간을 올라선 후 15~30m 밧줄 5개가 설치된 바윗길을 약 20분 가량 오르면 암봉(←제2코스 정상 서봉 660m 푯말)에 닿는다. 분재 같은 노송들이 있고, 대안사 방면 길목에 ‘등산로 폐쇄’ 푯말이 있다.
암봉부터 망경대 서릉이다. 1분 가면 철사다리에 의지해 약 8m 높이 절벽을 내려서서 안부를 지나 20m 밧줄이 걸린 바위를 세미클라이밍으로 기어 오른다. 50cm~1m 간격으로 볼트가 박혀 있는 바위를 벗어나 10분 가량 오르면 현위치 푯말(운악산 3-3, 8부 능선)이 나오며 완만한 암릉으로 들어선다. 이어 7~8분 거리에서 추락을 주의해야 하는 사면길을 10m와 20m 밧줄에 의지하며 10분 가량 오르면 정면으로 망경대가 올려다 보이는 전망바위로 들어선다.
계속 바윗길을 타고 20분 가량 오르면 왼쪽 궁예성터 방면과 만나는 사거리(←정상 서봉 1코스 합류길, 정상 서봉 160m 2코스→ 푯말)에 닿는다. 오른쪽 약 25m 철사다리를 올라 4~5분 더 오르면 망경대 꼭대기인 너럭바위로 들어선다. 망경대에서 직선 약 60m 거리에 이르면 서봉에 닿는다. 서봉에서 오른쪽 한북정맥 길로 8~9분이면 정상인 동봉에 닿는다.
운악산광장을 출발하여 자연휴양림 매표소~운악사~망경대 서릉~망경대~서봉을 경유해 동봉에 이르는 산행거리는 약 3km로, 3시간 안팎이 소요된다.
- ▲ 소꼬리폭포. 갈수기에는 물이 거의 마른다.
- 운악사~소꼬리폭포~궁예성터~망경대~서봉 정상 운악산광장에서 10분 거리인 자연휴양림 매표소를 지나 약 25분 오르면 운악사 입구 바위 안부에 닿는다. 안부에서 계단을 내려서면 운악사 경내로 들어선다. 운악사에서는 일요일에만 등산인들에게 국수를 무료로 제공한다.
경내 샘터를 지나면 곧이어 오른쪽으로 약 20m 수직절벽이 있다. 이곳이 소꼬리폭포다. 비가 내려야만 폭포를 이루는데 그 폭포 모습이 소꼬리를 닮았다고 한다. 폭포 아래에서 왼쪽 급경사 바윗길을 오르면 지능선 삼거리다. 삼거리에서 왼쪽 인공굴을 통과하면 자연휴양림이 조망되는 기도터가 나온다. 운악사 협곡 건너로 소꼬리폭포가 마주보인다. 폭포 상단부로는 제2코스 암릉이 하늘금을 이룬다.
기도터에서 다시 삼거리로 나와 지능선으로 3~4분 오르면 또 삼거리가 나온다. 직진하는 급경사 내리막은 무지개폭포로 이어진다. 무지개폭포 방면은 출입금지 푯말을 세워 놓았다. 삼거리에서 오른쪽 지능선을 따라 4~5분 오르면 약 4m 철사다리를 올라 20m 밧줄 2개가 매인 경사진 바위를 기어오르고, 암릉 북사면으로 이어지는 산길로 5~6분 오르면 궁예성터에 닿는다. 궁예성터를 뒤로하는 암릉길로 7~8분 오르면 또 성터가 나타나면서 45도 급경사로 이어진다. 급경사 암릉으로 20분 가량 오르면 전망바위로 들어선다.
전망바위에서 펼쳐지는 조망을 보노라면 옛날 궁예가 이곳을 피성(避城)으로 정한 이유를 짐작하게 된다. 남쪽으로 수락산 삼각산(북한산) 도봉산 수원산 등이 조망된다. 남서쪽으로는 한강봉 불곡산, 서쪽으로는 포천 왕방산 국사봉이 멀리 파주 감악산과 함께 펼쳐진다. 북서로는 소요산과 금주산이 더 멀리의 종자산 관인봉 지장봉 고대산 금학산 등이 철원평야와 함께 시원하게 조망된다. 북으로는 관음산 여우고개 명성산 사향산 등도 보인다.
전망바위를 뒤로하면 철쭉과 상수리나무가 군락을 이룬 다소 완만한 능선 길로 올라간다. 5~6분 오르면 북쪽 아래로 신선대바위와 대궐터 협곡이 내려다보이는 전망바위에 닿는다. 다시 가팔라지는 능선으로 10분 오르면 운악사에서 올라오는 제2코스와 만나는 사거리에 닿는다. 이후 사거리에서 직진하여 오르는 25m 철사다리를 타고 올라 망경대~서봉~정상으로 잇는다.
운악산광장을 출발하여 운악사~소꼬리폭포~궁예성~망경대를 경유해 서봉 정상에 오르는 산행거리는 약 3.5km로, 3시간30분 안팎이 소요된다.
경기의 소금강’…고려 개국 후에도 궁예가 버텼던 성터도
- ▲ 북릉 상 925m봉에 위치한 아기바위. 북릉은 등산로 폐쇄지역이다.
-
운주사~연습바위~대궐터~아기바위~서봉 정상(제1코스) 운악산광장에서 북쪽 좁은 길로 약 50m 가면 운주사 입구다.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들어서면 곧이어 운주사 용왕전과 함께 있는 식수대 앞이다. 식수대 오른쪽 오솔길로 50m 가면 현위치 푯말(운악산 4-1 운주사)이 있다.
푯말에서 오솔길로 7~8분 들어가면 삼거리(←운주사, 정상 서봉→, 암장 가는 길→ 푯말)에 닿는다. 오른쪽은 자연휴양림 방면 무지치식당(일명 운악산정) 마당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운악산광장에서 자연휴양림으로 들어가다가 중간인 무지치식당에 이르러 북쪽 길로 들어가도 된다.
푯말에서 왼쪽 사면길은 곧이어 신선대 서릉으로 이어진다. 서릉으로 약 13분 오르면 무지개폭포가 보이는 전망장소에 닿는다. 이어 6~7분 거리에서 급경사에 이르면 약 100m 밧줄이 기다리고 있다. 이어 약 50m 밧줄을 지나면 바위벽 아래에 닿는다. 길은 오른쪽 돌계단 사면으로 이어진다.
사면 길은 협곡을 건너 시계바늘 방향으로 휘돌아 천정바위 아래 삼거리(←약수터 암장, 정상 서봉 1,300m→ 푯말)에 닿는다. 위로 올려다보이는 천정바위와 왼쪽 30m 거리인 약수터까지 펼쳐진 벽이 연습바위다. 바위에는 코스별로 볼트들이 십수 개 박혀 있다. 바로 이 연습바위 꼭대기가 신선대다.
연습바위 아래 삼거리에서 오른쪽 바위사면 길로 들어서면 곧이어 왼쪽 신선대 갈림길이 있다. 무지개폭포를 오른쪽 아래로 내려다보면서 2~3분 가면 무지개폭포 위 계곡 삼거리가 나온다. 오른쪽 계류를 건너가면 궁예성터가 있는 암릉 하단부(등산로 폐쇄 안내판 있는 곳)를 너머 소꼬리폭포와 운악사로 이어진다.
무지개폭포 위 삼거리에서 왼쪽 바위투성이인 협곡 안으로 15분 오르면 숯가마터 두 개가 남아있는 대궐터가 나온다. 이어 급경사 돌밭길로 10분 거리에서 6m 사다리를 오른 후 약 50m 더 오르면 바위 아래 삼거리에 닿는다. 오른쪽 급경사 협곡 돌밭길은 암릉 우회길이다. 그런데 우회길이 안전시설이 없어 오히려 암릉보다 더 위험하다. 암릉으로 들어서면 곧이어 10m 철사다리를 올라 밧줄이 매인 급경사 바위길에 이어 5~6분 더 올라 마지막 밧줄(약 20m)이 걸린 바위를 오른다.
급경사 바위를 오르면 925m봉 북서릉 안부를 밟는다. 이어 오른쪽으로 오르면 삼거리에 닿는다. 삼거리에서 오른쪽 사면 길은 925m봉 남쪽 안부(서봉 북릉)로 가는 지름길이다. 직진하는 오르막으로 2~3분 오르면 서봉 북릉(한북정맥) 안부에 닿는다. 안부에서 북릉 방면에는 ‘폐쇄(길 없음)’이라 쓰인 노란색 푯말이 걸려있다.
안부에서 북릉으로 약 60m 거리에 약 10m 수직절벽이 있는데, 이곳이 매년 몇 명씩 추락사고가 발생한 곳이다. 첫 조난사고는 67년 12월25일 요산회 회원들이 산행 중에 일어났다. 이 절벽은 원통산쪽에서 올 경우 자일 없이는 내려설 수 없다. 자일을 걸고 하강할 때에도 자일이 양쪽 절벽쪽으로 움직여 착지도 쉽지 않다. 포천시는 내년에 사다리를 설치할 예정이다.
북릉이 막혀 있는 안부에서 오른쪽 925m봉으로 올라서면 아기바위(현위치 운악산 4-5 안내판)에 닿는다. 어머니가 두 아이를 앞에 두고 서 있는 형상을 한 기암이다. 이어 북릉을 타고 3분 가면 우회길과 만나는 안부에 이르고, 이어 7~8분(약 250m) 오르면 서봉 정상이다.
운악산광장을 출발하여 운주사, 또는 무지치식당~폭포전망대~연습바위~대궐터~아기바위를 경유해 서봉 정상에 오르는 산행거리는 약 3.5km로, 산행시간은 2시간30분 안팎이 소요된다.
- ▲ 서봉 북릉 607m봉을 지난 유일한 전망바위에서 북으로 본 원통산.
-
강구동~은성기도원~서봉 북릉~원통산 화현2리 버스정류소에서 동쪽 강구동 방면 농로를 따라 7~8분 들어가면 큰 느티나무가 있다. 느티나무에서 15분 더 들어가면 수도원 앞 삼거리에 닿는다. 오른쪽 길로 들어서면 곧이어 계곡길로 이어진다.
4~5분 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계류를 건너 낙엽송과 밤나무가 섞여 숲속 안으로 들어간다. 이후 20분 가량 들어서면 높이와 폭이 각각 15m 가량 되는 와폭을 지난다.
20분 더 들어가면 숯가마터가 나타나고, 곧이어 합수점에 닿는다. 오른쪽 계곡으로 들어서면 길이 점점 흐릿해진다. 이따금 유실되어 길 흔적이 사라진 곳도 있는 계곡으로 15분 오르면 두 번째 숯가마터가 나오고, 산길은 가팔라지고 지그재그로 이어진다. 두툼한 낙엽 속으로 숨어든 길이 대부분인 급경사를 20분 가량 오르면 운악산 서봉 북릉 안부에 닿는다. 이곳에서 남쪽 능선길은 폐쇄됐다.
안부에서 북쪽 능선을 타고 25분 거리인 607m봉을 지나 8~9분 가면 삼거리에 닿고 오른쪽으로 약 30m 가면 전망바위에 닿는다. 전망바위에서는 북서쪽 한북정맥 너머로 관음봉과 사향산이 보인다. 북으로는 원통산, 원통산에서 오른쪽으로는 길매봉 청계산 귀목봉 명지산 등이 하늘금을 이룬다.
전망바위에서 다시 삼거리로 나와 계속 북쪽 능선길로 15분 가면 535m봉에 닿고, 내리막길로 15분 내려서면 작은 돌무더기가 있는 사거리 안부에 닿는다. 서쪽 화현저수지, 동쪽 웃(위)노채 방면은 수레가 다녀도 될 정도로 넓다. 이곳이 본래의 노채고개로 여겨진다.
사거리 안부에서 15분 거리에 이르면 지형도에 표기된 노채고개인 사거리 안부에 닿는다. 이곳은 지나온 사거리 안부에 비해 절반도 안 될 정도로 가로지르는 산길이 협소하다. 지형도 상의 노채고개를 뒤로하고 10분 오르면 서쪽 갱팽이골 방면 지능선 갈림길과 만난다. 이어 535m봉을 넘어 5분 가면 갱팽이골 방면 갈림길에 닿고, 15분 더 오르면 원통산 정상이다.
강구동을 출발하여 은성기도원~운악산 서봉 북릉~전망바위~노채고개를 경유해 원통산에 오르는 산행거리는 약 7km로, 3시간30분 안팎이 소요된다.
- ▲ 갱팽이골 오른쪽 능선 시발점에 있는 오래된 묘지.
- 영선동(화현5리)~노채골~노채고개(또는 무상사~535m봉)~원통산 화현5리 정류소(용화사 1.2km 안내판→)에서 만리향식당과 약방 사이로 7~8분 들어가면 영선동 인삼밭 앞 삼거리(←무상사 푯말)에 닿는다. 삼거리에서 오른쪽 길은 노채골 들목이다. 노채골 방면으로 10분 가면 용화사 갈림길(오른쪽)에 닿는다.
용화사 갈림길에서 직진하면 곧이어 합수점이 나온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계류를 건너 25분 가량 오르면 지형도 상의 노채고개에 닿는다. 이후 왼쪽 한북정맥을 타고 535m봉을 지나 원통산으로 향한다.
영선동 인삼밭 앞 삼거리에서 왼쪽 무상사 방면 마을길로 약 50m 거리인 큰 느티나무 앞을 지나 2~3분 가면 삼거리(←산신천사, 무무암→)다. 오른쪽 길 20m 거리에 또 삼거리(←무무암, 무상사→)가 있다. 이 삼거리에서 약 150m 가면 무상사 대웅전 오른쪽 장독대 뒤로 송림길이 이어진다.
송림길로 3~4분 가면 개울가에 묘가 있는 삼거리가 있다. 갈라진 두 길은 3분 거리 공터에서 다시 만난다. 이어 약 30m 가면 두 번째 공터에 이르고, 오른쪽 길로 오르면 곧이어 수백 년 전 조선조 때 묘에 닿는다. 이 묘에서 오른쪽 길로 30m 가량 가면 계곡 방면으로 묘 3기가 내려다보이는 지능선에 닿는다.
여기서 왼쪽 지능선으로 들어가 30분 가량 오르면 남쪽 노채고개 방면 길과 만나는 한북정맥에 닿는다. 이곳에서 왼쪽 오르막으로 5분 거리인 535m봉을 지나 원통산 정상으로 향한다.
화현5리 정류소를 출발하여 영선동 인삼밭 앞 삼거리~노채골~노채고개~535m봉, 또는 인삼밭 앞 삼거리~무상사~조선조 때 묘~지능선~535m봉을 경유해 원통산에 오르는 산행거리는 약 3km로, 1시간30분 안팎이 소요된다.
- ▲ 원통산에서 남으로 본 운악산 북릉과 서봉.
- 버들골(유동1리)~원통산 원통산 서릉을 경계로 일동면과 화현면으로 나뉜다. 버들골의 행정지명은 일동면 유동1리. 유동1리 정류소에서 동쪽 마을길로 4~5분 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왼쪽 콘크리트 포장길로 5~6분 가면 마지막 집이 있고, 이어 잔디 깔린 오솔길로 들어간다. 약 40m 가면 가족묘역이 나오고, 왼쪽 낙엽송숲으로 약 30m 들어서면 오른쪽 잣나무 숲길로 이어진다.
잣나무 숲길을 지나면 원통산 서릉으로 이어진다. 서릉을 타고 약 20분 가량 오르면 암릉으로 들어선다. 암릉을 타고 20분 가량 더 오르면 옥녀봉 정상이다. 옥녀봉에서 내려선 안부를 지나 5분 오르면 원통산 정상이다.
유동1리 정류소를 출발하여 버들골 마지막 집~옥녀봉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는 산행거리는 약 2km로, 1시간10분 안팎이 소요된다.
/ 글·사진 박영래 객원기자
경기의 소금강’…고려 개국 후에도 궁예가 버텼던 성터도
- ▲ 절터가 세다하여 보조국사가 세웠다는 지진탑.
-
◆현등사
아기봉 들목인 산달랑이에서 아기폭포 입구를 지나 철암재 방면 약 500m 거리 오른쪽에 오래된 절터가 있다. 옛날 이 절터에는 꽤나 많은 스님들이 상주했다는 큰 절이 있었다 전해진다. 그런데 어느 날 어떤 선비가 이 절 앞을 지나다가 스님들로부터 푸대접을 받게 되었다.
푸대접을 받은 선비는 주지에게 “절 앞에 놓인 돌다리를 옮겨 놓으면 사찰에 더 많은 재물이 쌓일 것”이라 말하고 그 자리를 떠났다. 그 후 이곳 스님들이 선비의 말대로 돌다리를 옮겨 놓았고, 곧이어 절에는 빈대가 들끓기 시작했다 한다.
이 빈대 때문에 이곳에서 지탱하기 어렵게 된 스님들이 마일리 절골로 사찰을 옮겼다. 세월이 흐른 뒤 마일리 절에서 운악산쪽을 보니 산속에서 자꾸만 불빛이 보여 불빛이 나타났던 장소로 사찰을 옮기게 된 것이 지금의 현등사 자리라는 전설이 주민들에 의해 전해진다.
현등사(懸燈寺)는 신라 22대 법흥왕(514-539) 때 인도에서 마라가미(摩羅呵彌)라는 중이 신라를 찾아왔을 때 그를 위해 세웠다는 설이 전해진다. 또는 신라 효공왕 2년(898)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설, 고려 희종 6년(1210) 보조국사가 3창하면서 현등사라 불렀다는 설, 보조국사 이후 조선조에 들어와 태종 11년(1411)에 함허조사가 삼각산(지금 북한산)에서 오신산(五神山·지금의 오대산으로 보는 경우도 있음)으로 가는 길에 길을 잃었는데, 흰 사슴 한 마리가 앞장서서 가는 것을 보고 쫓아갔더니 옛날 절터가 있었으므로 그 자리에 크게 중수(4창)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창건연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이외에 세조 15년(1470), 순조 11년(1811) 취운조사와 원빈조사가 중수하고, 1823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다음 해 구암화상이 5창하고, 1891년 상궁하씨(河氏)가 새롭게 중수했다는 기록 정도가 전해진다. 이어 1916년 일제 때 금명화상이 중수하고, 1975년 성암화상이 일부 보수했다. 현등사는 6.25 때에도 피해를 입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릉 봉선사(奉先寺) 말사이다.
경내에는 보조국사가 절터 지기가 세다하여 이를 누르기 위해 세웠다는 삼층지진탑(도문화재자료 제17호), 조선 세조 15년 현등사를 중수한 기록이 새겨진 사리용기가 발견된 바 있는 삼층석탑(도유형문화재 제63호), 광해군 11년(1619)에 봉선사 대종(보물 제97호)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봉선사종(도유형문화재 제168호), 함허대사(1376-1433) 사리탑, 화담당경화탑(향토유적 제1호) 등이 있다.
- ▲ 소꼬리폭포와 무지개폭포 사이 암릉에 남아 있는 궁예성터.
-
◆운악산성(궁예성터)
운악산 서봉 북서쪽 험준한 암릉에 자리한 운악산성터는 일명 ‘궁예의 피성’ 또는 ‘화성(花城)’으로도 불린다. 화성은 지금의 화현리(花峴里)가 옛날에는 화성리(花城里)로 불린 데서 나온 이름이다. 이 성은 궁예가 한 때 웅거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해발 350m~450m 일대와 정상부 험준한 기암절벽과 자연적 지형을 잘 살려서 축성한 산성이다. 운악산성은 견훤성, 양평의 함왕성과 함께 신라 말 호족의 역사를 밝힐 수 있는 귀중한 모형으로 평가 받고 있다.
산성 흔적 길이는 약 2.5km에 달하며, 높이가 낮은 곳은 0.5m, 높은 곳은 3m에 달하는 겹성(二重城)이다. 이같이 독특한 형태를 갖춘 운악산성에 대한 유일한 기록으로는 영조 34년(1758년) 이세욱(李世郁) 등이 편찬한 〈견성지(堅城誌)〉산천조에 ‘운악산은 포천현 동쪽 25리에 있다. 가평현 현등산 서쪽에 있다. 산꼭대기에 옛 나라의 궁궐터가 있다’는 기록이 있다. 옛나라의 궁궐터라 한 곳은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는 무지개폭포 상단부 산성내 현재 숯가마터가 있는 궁궐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궁예 세력과 왕건 세력이 포천에서 오랫동안 대립한 기록이 고려사에 전해지고 있다. ‘계미 6년(923년) 봄 신축일에 명지성(포천의 옛 이름) 장군 성달이 그 아우 이달·서림과 함께 고려에 와서 항복하고 같은 동지가 되었다’는 기록은 왕건이 궁예를 축출하고 고려 태조로 등극하고서도 6년 동안이나 포천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했음을 증명해주고 있다.
성터는 상당 부분이 훼손되어 있다. 성곽 형태가 가장 잘 남아 있는 곳은 소꼬리폭포와 무지개폭포 사이 암릉뿐이다.
산행길잡이
교통
서울→현등사 청량리역 앞 환승정류소에서 1330-4번 좌석버스가 1일 8회(06:00~17:00) 운행. 요금 1,600원. 1시간20분 소요
상봉터미널→현리 광릉내 경유 시외버스가 1일 6회(07:00~19:40) 운행. 요금 4,400원. 1시간 소요. 이 노선 중 14:30 발은 현등사를 거쳐 꽃동네까지 운행. 요금 5,100원. 1시간10분 소요.
현등사→현리·청평·청량리 1330-4번 좌석버스 1일 8회(07:00, 08:10, 09:40, 11:05, 14:30, 15:50, 17:00, 18:20) 운행.
열차편 청량리역에서 1일 19회(06:15~22:20) 운행하는 춘천행 이용, 청평에서 하차. 요금 3,200원. 1시간5분 소요.
청평→현등사 1일 7회(08:20, 09:30, 12:20, 14:10, 15:10, 16:10, 17:40) 운행
현리→산달랑이 1일 3회(06:30, 10:30, 16:40) 운행.
산달랑이→현리 1일 3회(06:40, 11:00, 17:00) 운행.
현등사 입구→현리 1일 8회(07:30, 09:30, 11:20, 12:10, 13:30, 16:30, 18:00, 20:00) 운행. ※이 버스편은 상판리에서 나오는 버스.
현리→광릉내 원흥리~율길리~서파~내촌 경유 1일 7회(07:55, 09:45, 11:35, 14:00, 15:50, 17:50, 19:40) 운행하는 7번 버스 이용.
현리 택시 전화 031-585-0473, 584-7750.
동서울터미널→광릉내 1일 53회(06:00~20:45) 운행하는 사창리·다목리·와수리행 버스 이용. 요금 2,900원. 1시간10분 소요.
청량리→광릉내 퇴계원~장현 경유 5~7분 간격 운행하는 707번 버스 이용. 교통카드 900원. 1시간 소요.
경동시장→광릉내 상봉동~돌다리~퇴계원~내각리~장현 경유 88번 버스 이용.
석계역·태능역→광릉내 73번, 7-3번 버스 이용.
길동→광릉내 강동역~천호동~광장동~구리시청~교문리~돌다리~GS백화점~제2청사~금곡동~사능~오남리~장현 경유 23번 버스 이용.
강변역→내촌 장현·퇴계원 경유 11번 버스 이용.
의정부→광릉내 의정부역~구터미널~신터미널~축석령~국립수목원~광릉~봉선사 경유 21번 버스와 3번 마을버스(경복대~광릉내) 이용.
광릉내→대안사·운악산 휴양림·강구동·영선동·버들골 1일 16회(05:50~20:00) 운행하는 내촌~서파 경유 일동행 7번 버스 이용. 자연휴양림 입구 30분 소요. *현리행 7번 버스도 있으므로 반드시 버스기사에게 확인할 것.
버들골·영선동·강구동·휴양림 입구·대안사 입구→광릉내 일동에서 1일 17회(05:50~20:50) 운행하는 7번 버스 이용.
광릉내→현리 내촌~서파~율길리~원흥리 경유 1일 8회(07:00, 08:50, 10:45, 13:00, 14:50, 16:40, 18:40, 20:30) 운행하는 7번 버스 이용.
광릉내 개인택시 031-527-7116, 527-6227.
입장료 현등사 입구 매표소에서 어른 1,600원, 청소년·군경 600원. 가평군민과 어린이는 무료. 화현리 방면은 자연휴양림 매표소에서 운악사 방면으로 등산할 경우 무료.